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Hedge Fund
- LG화학
- 4분기 화학산업
- 식품의약품안전처
- 우한 폐렴
- SK이노베이션
- 책소개
- 식약처
- 국내 확진자
- 손소독제 매점매석
- 롯데케미컬
- 이제는 돈되는 공부방이다
- 주식
- 비지니스 매너
- 해지펀드
- 매점매석
- 4분기 화학산업 매출액
- 우리나라 확진자
- 마스크 매점매석
- 우한 폐렴 우리나라 확진자
- 4분기 화학산업 영업이익
- 우한 폐렴 국내 경로
- Today
- Total
하일리
[개념] 헤지펀드 본문
헤지펀드
우선, 헤지(hedge)의 뜻을 알아봅시다.
구글 검색 ㄱㄱ~
방치책이라고 알려주는군요.
아직은 감이 잘 안잡힙니다.
위키백과에서 헤지 펀드를 검색해 봅시다.
헤지(hedge)는 울타리, 장벽, 방지책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울타리나 장벽, 방지책을 세우는 것은 어떤 종류의 위험이 있어서 그것을 피하기 위해서다. 그러므로 헤지펀드의 뜻은 '위험을 상쇄하는 베팅이나 투자등을 통해 손실을 피하거나 줄이려고 노력하는' 펀드를 의미한다.
1949년 미국의 사회학자 알프레드 존스의 회사 존스앤코 (Jones & Co.)에서 최초로 '헤지(hedge)' 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고수익을 올렸고, 이 후 이 기술은 롱(long)/쇼트(short) 모델로 알려지게 되었다. 롱/쇼트 모델의 기본은 특정한 주식에 대해 롱 포지션 (매수)을 취하는 동안, 주가 하락에 대한 위험 감소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쇼트 포지션 (공매도)을 동시에 취함으로 시장의 변동성이나, 주가 하락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 하게한다.
헤지펀드는 공격적으로 운영될 수도 있고,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파생금융상품에 투자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헤지펀드는 소수의 투자자들로부터만 자금을 받는데,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는 일정 금액 (최소 50만불-백만불)을 1년 이상 투자해야하며, 1년이 지난 이후에도 입출금은 연간 2-4회 특정 기간 동안에만 가능하다는 제약이 있다. 일반적으로, 헤지 펀드는 2/20 규정에 따라 소득을 올리는데, 총 운영자금의 2%, 연간 수익의 20%를 제외하고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제공한다.
여기서 위험은 투자가 이익을 내지 못하거나, 손실로 이어지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겟죠?
이를 토대로 정리해보면...
1. 투자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위험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정한 기법들을 이용하여 운용되는 펀드!
2. 소수의 투자자들로 부터 구성되며, 최소 가입금액이 크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한 기법이란 무엇일까요?
삼성자산운용 투자기초 소개글에서 찾아봤어요!
헤지펀드 투자전략!
- Equity Hedge: 이종 산업 간 저평가 종목을 매수(Long)하고 고평가 종목을 공매도(Short)하여 양쪽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펀더멘털 롱숏(Fundamental Long/Short) 전략과 동종 업종 내에서 보다 저평가 종목을 매수하고 보다 고평가 종목을 공매도하는 페어트레이딩(Pairs Trading) 전략이 있습니다.
- Relative Value: 주로 채권에 대한 투자로 채권수익률곡선 변화 또는 크레딧 스프레드 변화 등에 투자하며, 전환사채와 주식간의 상대가치에 대한 투자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Event Driven 전략: IPO, 대량매매(Block Deal), 공개매수 및 M&A등 특별한 이슈 발생에 따른 투자기회를 활용하는 전략으로 부실채권에 대한 투자 전략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 Macro 전략: 거시경제의 변화의 예측을 통해 주식, 채권, 외환(FX) 및 원자재(Commodity) 등에 투자하는 전략으로 주로 해당 자산의 현물보다는 선물을 활용하는 전략입니다.
또한, 헤지펀드를 소개할때 아래와 같은 표현이 종종쓰이는데 무슨 뜻일까요?
헤지펀드는 인덱스(=지수, 벤치마크)를 추종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공모펀드의 경우에는 주가지수(=인덱스)가 상승하는 경우 수익율이 증가하게되고,
주가지수가 떨어지는 경우 수익율이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헤지펀드의 경우 지수가 떨어지더라도 수익율이 증가할 수 있는데요~
위에서 소개한 Equity Hedge 전략을 예로들면,
주가가 떨어지더라도 공매도를 통해 수익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